윈API 리소스 편집기

리소스의 소스 파일인 RC파일은 메모장 등의 텍스트 편집기로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파일입니다. RC파일에 사용하고자 하는 리소스의 종류, 모양 등을 작성한 다음 이 파일을 리소스 컴파일러로 컴파일하면 RES라는 이진 파일이 생성되며, 이 파일이 링크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실팽 하일에 합쳐지게 됩니다. 리소스를 기술하는 RC파일을 작성하는데는 고유의 문법이 적용되며, 이 문법이 비록 쉽기는 하지만 대충이라도 숙지하고 있어야 리소스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는 것이 원칙입니다.


보통 이를 활용하여 소스코드를 작성하게 되면, 사용된 문법이 직관적이기는 해도 매우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여기에 난이도를 매긴다면 HTML보다 더 쉬운 수준이라 몇가지 예약어만 배우면 누구나 이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. 비주얼 C++같은 편리한 개발툴이 나오기 전에는 C소스를 작성하듯이 RC파일을 편집기로 직접 입력하였는데, 리소스 파일의 작성문법도 알아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. 리소스 파일을 만든 다음에는 별도의 리소스 컴파일러를 사용해서 RC파일을 컴파일하는 과정도 필요했었습니다.


하지만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개발툴들은 리소스 스크립트 문법을 모르더라도 리소스 파일을 작성할 수 있는 위지윅편집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리소스 편집기를 사용한다면 굳이 RC 파일의 문법에 대해 모르더라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. 마치 웹 편집기를 사용하면 상세한 HTML 문법을 모르더라도 얼마든지 예쁜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것과 동일합니다. 또한 통합 개발 환경이 알아서 리소스 컴파일러를 호출하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도 리소스의 컴파일에는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.


그러나 아주 특수한 경우에는 가끔 이 파일을 열어서 직접 편집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에를 들어서 다국어 버전을 만들 때 양쪽의 ID를 일치시킨다거나 일련의 컨트롤에 연속적인 ID를 부여하고 싶을 때입니다. 이런 경우에라도 resource.h라는 헤더 파일이 수정 대상이지 리소스 스크립트 자체는 편집할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.


볼랜드 C++은 리소스 웍샵이라는 리소스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비주얼 C++에서는 별도의 분리된 리소스 편집기가 없으며, 개발자 스튜디오 자체에서 리소스 편집기가 통합되어 있습니다. 워크 스페이스 아래쪽에 리소스 뷰라는 탭이 있는데, 이 탭을 눌러서 나타나는 페이지에서 리소르를 관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는 비주얼 C++을 사용하여 리소스 개발 과정을 실습해 보므로 리소스 뷰와 개발 리소스 편집기를 별도로 공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. 실습을 따라하다보면 사용 방법을 비교적 간단하게 숙지할 수 잇습니다.


안타깝게도 공개 컴파일러인 Dev-C++은 리소스 컴파일러는 내장하고 있지만 리소스 편집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리스소 작업이 필요할 때는 Dev-C++을 쓰기 힘들며, 비주얼 C++로 작업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. 비주얼 C++이나 그 외에 있는 전용 리소스 편집기로 만든 리소스를 Dev-C++로 컴파일하는 것은 가능합니다.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